[Arduino] Thermistor, Peltier module 을 활용해 Rising time과 Return Time 다항식 만들기 / 파이썬 / 아두이노
·
HCI/Arduino
이전 포스팅에서 만든 최종 결과로, 다항식을 만들어볼 예정입니다.일단 제 실험 결과는 아래처럼 나왔습니다.더보기FolderFileDeltaRise_Time_sReturn_Time_sdelta_-1.0run_1.csv-11.0291.027delta_-1.0run_2.csv-11.0291.027delta_-1.0run_3.csv-11.030.822delta_-1.0run_4.csv-11.031.027delta_-1.0run_5.csv-11.0291.028delta_-2.0run_1.csv-21.6481.644delta_-2.0run_2.csv-21.751.644delta_-2.0run_3.csv-21.6481.644delta_-2.0run_4.csv-21.751.028delta_-2.0run_5.csv-21..
[Arduino] Thermistor, Peltier module 을 활용해 Rising time과 Return Time 계산하기 / 파이썬 / 아두이노
·
HCI/Arduino
이번 포스트에서는 아두이노와 파이썬을 활용해 Peltier 모듈을 제어하고, 온도 상승 시간 (Rising time) 및 복귀 시간 (Return time) 을 계산하는 실험을 정리합니다. 실시간 PID 제어를 통해 일정한 온도 변화 자극을 만들고, 이후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파이썬에서 자동 분석을 수행합니다. 실험 개요목표: ΔT 자극을 주고 난 뒤, 목표 온도 도달 시간과 baseline 온도로 복귀하는 시간을 측정센서: Thermistor (NTC)액츄에이터: Peltier 모듈제어 방식: PID 제어샘플링 주기: 10Hz (100ms)데이터 수집 방식: Serial 통신 → CSV 저장하드웨어 구성Arduino MegaPeltier module (Thermoelectric cooler)Ther..
[Arduino] Thermistor 센서 값 받아 아두이노 출력 하기
·
HCI/Arduino
아두이노 회로 온도 측정을 위한 회로 설계 아두이노 코드int Thermistor_Input = A0; // 온도 측정을 위한 입력 핀float Vi = 1023.0; // 아두이노의 최대 ADC 값 (10-bit ADC)float R1 = 22000.0; // 기본 저항 값 (22kΩ)float R2 = 0; // 온도에 따라 변하는 서미스터 저항 값float logR2 = 0; // 서미스터 저항의 로그값 저장float T = 0; // 온도 값 저장float c1 = -1.185559046e-03; // 서미스터의 계수 값float c2 = 5.505203063e-04; // 서미스터의 계수 값float c3 = -9.653138374e-07; // 서미스터의 계수 값unsigned long sta..